책 내용 정리/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rctic Fox & 프로그래밍
-
Chapter 19 안드로이드 앱과 액티비티 생명주기책 내용 정리/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rctic Fox & 프로그래밍 2023. 8. 18. 09:45
날이 갈수록 모바일 장치의 메모리나 컴퓨팅 능력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Desktop 시스템에 비해서는 여전히 제한 되어 있어서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특히 메모리!). 운영체제와 앱 모드에서 그렇다. 관리를 하면서도 항상 사용자에게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안드로이드는 앱이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앱을 구성하는 모든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상태를 전적으로 통제한다. 안드로이드 개발자는 앱과 액티비티의 생명주기 관리 모델을 이해하고 상태 변경에 대처할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19.1 안드로이드 앱과 리소스 관리 안드로이드 앱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하에서 별개의 프로세스로 실행된다. 그리고 장치의 자원이 한계에 다다를 경우 시스템에서는 메모리 확보를 위해 프로세서를 중단하는 조치를 취한..
-
Chapter 9 : 안드로이드 아키텍처 개요책 내용 정리/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rctic Fox & 프로그래밍 2023. 8. 14. 18:26
차례 : 9.1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스택 9.2 리눅스 커널 9.3 안드로이드 런타임 - ART 9.4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9.4.1 C/C++ 라이브러리 9.5 앱 프레임워크 9.6 앱 9.7 요약 9.1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스택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스택(stack)의 형태로 구성된다. 앱, 운영체제, 런타임 환경, 미들웨어, 각종 서비스와 라이브러리 등이 겹겹이 쌓여 구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9.2 리눅스 커널 리눅스 커널은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스택의 맨 밑에 위치하며, 장치 하드웨어의 기반 운영체제 역할을 담당한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커널만을 사용한다. 원래 리눅스는 Desktop이나 서버의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리눅스 커널의 효율성과 성능이 좋으므로..